CCA 기반 유・무인 협동 Team-Tactics의 전략적 효과성 분석: 차세대 항공전력 구조 혁신을 위한 정책적 함의
Strategic Effectiveness Analysis of CCA-Based Manned-Unmanned Team-Tactics: Policy Implications for Next-Generation Air Power Structure Innovation
수록페이지
p.135-146 (12pages)
조회수
4
다운로드
0
- 창간연도
- 2024년 1월
- ISSN
- (Print)3022-6686 , (Online)3022-6651
- 수록권호
- 제2권 3호 (통권 7호)
- 발행일
- 2025.08
- 수록논문
- 20 articles
- 유형
- 학술저널
- 주제
- 사회과학, 자연과학, 예술체육학, 복합학
- 발행기간
- 2024.01 ~ 2025.08
- 발행주기
- 연 4회(계간)
- 총 권호 수
- 6 volumes
- 총 논문 수
- 94 articles
키워드
초록
현대 항공 전투 환경은 중국과 같은 대등한 상대와의 고강도 분쟁 가능성 증대로 인해 근본적 변 화를 겪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 공군이 도입한 CCA(Collaborative Combat Aircraft) 프로그램 은 유・무인 협동 운용을 통한 새로운 전투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CCA 기반 유・무인 Team-Tactics의 전략적 효과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국내 도입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자 하였다. 연구방법론으로는 체계적 문헌조사와 현황분석을 결합한 혼합연구방법을 채택하였으며, YFQ-42A와 YFQ-44A를 중심으로 한 CCA 시스템의 기술적 능력과 운용 메커니즘을 심층 분석하 였다. 분석 결과, CCA는 기존 무인항공체계 대비 700해리 이상의 작전반경과 F-35 수준의 스텔스 특성을 구현하여 현저한 성능 우위를 보였다. 특히 24시간 연속 운용 능력과 2:1 이상의 전력 배수 효 과를 통해 기존 유인 전투기 체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국내 적용 가능성 측면에서 는 KF-21 프로그램과 연계한 단계적 개발 전략의 타당성을 입증하였으며, LOWUS를 통한 기술 기 반 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CCA 기반 Team-Tactics가 한국 공군의 미래 전력구조 혁신과 국가 안보 강화에 필수적인 전략적 자산임을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The modern air combat environment is undergoing fundamental transformation due to the increasing possibility of high-intensity conflicts with near-peer adversaries such as China. In this context, the U.S. Air Force’s Collaborative Combat Aircraft (CCA) program presents a new combat paradigm through manned-unmanned collaborative operations. This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s the strategic effectiveness of CCA-based manned-unmanned team-tactics to derive policy implications for domestic implementation. The research methodology adopted a mixed-method approach combining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current status analysis, conducting in-depth analysis of the technological capabilities and operational mechanisms of CCA systems, focusing on YFQ-42A and YFQ-44A. The analysis revealed that CCA demonstrates significant performance advantages over existing unmanned aerial systems, achieving an operational radius of over 700 nautical miles and F-35-level stealth characteristics. Particularly, the study confirmed that CCA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manned fighter systems through 24-hour continuous operational capability and force multiplication effects of 2:1 or higher. Regarding domestic applicability, the study validated the feasibility of a phased development strategy linked to the KF-21 program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a technological foundation through LOWUS.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demonstrating that CCA-based team-tactics constitute essential strategic assets for the innovation of the ROK Air Force’s future force structure and enhancement of national security.
참고문헌 (0)
- 이전논문장기 소모전에서 산업력이 작전 설계에 미치는 영향: 우크라이나 전쟁 사례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Industrial Capacity on Operational Design in Prolonged Wars of Attrition: Lessons from the Ukraine War
- 다음논문가라테 도 철학과 국제인도법의 통합을 통한 군사윤리 교육 혁신 연구: 미 해병대 MAG-49 ‘Ethical Warrior’ 프로그램 사례를 중심으로 EInnovation in Military Ethics Education through Integration of Karate-Do Philosophy and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A Case Study of the U.S. Marine Corps MAG-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