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인 줄걸이 작업의 제도적 안전 공백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해외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stitutional Safety Gap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Crane Rigging Work: Focusing on International Case Analysis
저자
한 훈, 노현성
Hoon Han, Hyun Sung Noh
Hoon Han, Hyun Sung Noh
수록페이지
p.214-226 (13pages)
조회수
5
다운로드
0
- 창간연도
- 2024년 1월
- ISSN
- (Print)3022-6686 , (Online)3022-6651
- 수록권호
- 제2권 3호 (통권 7호)
- 발행일
- 2025.08
- 수록논문
- 20 articles
- 유형
- 학술저널
- 주제
- 사회과학, 자연과학, 예술체육학, 복합학
- 발행기간
- 2024.01 ~ 2025.08
- 발행주기
- 연 4회(계간)
- 총 권호 수
- 6 volumes
- 총 논문 수
- 94 articles
키워드
초록
본 연구는 국내 크레인 줄걸이 작업 관련 사망재해의 근본 원인이 개인의 부주의가 아닌 제도적 공백에 있음을 규명하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현행 「유해・위험작업의 취업 제한에 관 한 규칙」은 크레인 조종은 규제하면서도 더 높은 위험도를 갖는 줄걸이 작업은 자격 제한 대상에서 제 외하는 모순을 보이고 있다. 일본, 미국, 말레이시아 등 해외 주요국의 크레인 안전 제도를 비교 분석 한 결과, 체계적인 자격 제도와 교육 시스템이 산업재해 예방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 였다. 특히 일본의 타마카케 기능 강습 제도는 법적 강제성과 표준화된 교육과정을 통해 안전 수준 향 상을 달성한 대표적 사례로 평가된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취업제한규칙 개정과 VR 기술을 활용한 체계적 교육 시스템 구축을 핵심 내용으로 하는 정책 개선안을 제시하였다.This study identifies that the fundamental cause of fatalities related to crane rigging work in Korea lies not in individual negligence but in institutional gaps, and proposes improvement measures accordingly. The current “Rules on Employment Restrictions for Hazardous and Dangerous Work” shows a contradiction by regulating crane operation while excluding rigging work, which poses higher risks, from qualification requirement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crane safety systems in major countries including Japan, the United States, and Malaysia, this research confirms that systematic certification systems and educational programs can substantially contribute to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Japan’s Tamakake skill training system particularly stands out as an exemplary case that has achieved safety improvements through legal enforceability and standardized curricula. Based on this analysis, the study proposes policy improvements centered on amending employment restriction rules and establishing systematic educational systems utilizing VR technology. The findings suggest that addressing institutional gaps through comprehensive regulatory reform and innovative training methodologies can significantly enhance workplace safety in crane operations.
참고문헌 (0)
- 이전논문자율살상무기체계의 책임성 거버넌스 비교연구: 미국, NATO, 중국의 정책 프레임워크 분석 Comparative Study of Accountability Governance in Lethal Autonomous Weapons Systems: Analysis of Policy Frameworks in the United States, NATO, and China
- 다음논문없음 (현재 논문이 "글로벌 융복합 제2권 3호 (통권 7호)"의 마지막 논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