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살상무기체계의 책임성 거버넌스 비교연구: 미국, NATO, 중국의 정책 프레임워크 분석
Comparative Study of Accountability Governance in Lethal Autonomous Weapons Systems: Analysis of Policy Frameworks in the United States, NATO, and China
저자
황규훈
Gyu Hun Hwang
Gyu Hun Hwang
수록페이지
p.203-213 (11pages)
조회수
5
다운로드
0
- 창간연도
- 2024년 1월
- ISSN
- (Print)3022-6686 , (Online)3022-6651
- 수록권호
- 제2권 3호 (통권 7호)
- 발행일
- 2025.08
- 수록논문
- 20 articles
- 유형
- 학술저널
- 주제
- 사회과학, 자연과학, 예술체육학, 복합학
- 발행기간
- 2024.01 ~ 2025.08
- 발행주기
- 연 4회(계간)
- 총 권호 수
- 6 volumes
- 총 논문 수
- 94 articles
키워드
초록
자율살상무기체계(LAWS)의 급속한 발전과 확산은 국제 안보 환경에서 책임성과 윤리적 통제 에 관한 새로운 도전을 제기하고 있다. 본 연구는 미국 국방부 지침 3000.09, NATO AI 전략, 중국 군민융합 접근법을 중심으로 주요국의 LAWS 책임성 거버넌스 프레임워크를 비교 분석하였다. 체계 적 정책 분석 방법론을 통해 각국의 인간 통제 요구사항, 책임 귀속 메커니즘, 국제인도법 준수 접근법 을 검토하였으며, 우크라이나 분쟁 사례를 통해 실제 작전 환경에서의 한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각국의 정치 시스템과 전략 문화에 따른 상이한 접근법이 국제적 조화와 상호운용성에 중요한 장애요 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술적 투명성 강화, 국제 협력 프레임워크 구축, 통합된 글로벌 거버넌스 체계 개발 등의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The rapid development and proliferation of Lethal Autonomous Weapons Systems (LAWS) present unprecedented challenges to accountability and ethical control in the international security environment. This study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of LAWS accountability governance frameworks among major powers, focusing on the U.S. Department of Defense Directive 3000.09, NATO AI Strategy, and China’s Military-Civil Fusion approach. Through systematic policy analysis methodology, we examine each nation’s human control requirements, responsibility attribution mechanisms, and approaches to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compliance, while exploring operational limitations through the Ukraine conflict case study. The findings reveal that divergent approaches rooted in distinct political systems and strategic cultures pose significant barriers to international harmonization and interoperability. Based on these insights, we propose policy recommendations including enhanced technological transparency, establishment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frameworks, and development of integrated global governance systems for effective LAWS accountability in contemporary warfare.
참고문헌 (0)
- 이전논문저비용 상용 드론을 활용한 다중군집 전장 감시 체계 설계: 호주 Ghost Bat 모델 기반 한반도 특화 3계층 아키텍처 Design of Multi-Swarm Battlefield Surveillance System Using Low-Cost Commercial Drones: A Three-Tier Architecture for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Australia’s Ghost Bat Model
- 다음논문크레인 줄걸이 작업의 제도적 안전 공백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해외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stitutional Safety Gap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Crane Rigging Work: Focusing on International Case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