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CS International Institute of Convergence Study
다양한 학제간 융복합연구를 통해 미래 사회의
변화를 주도할 수 있는 학문을
연구합니다
ENTRA
논문검색 Library

학술지 논문검색

저널명
글로벌 융복합(Journal of Global Convergence)
창간연도
2024년 1월
ISSN
(Print)3022-6686 , (Online)3022-6651
수록권호
제2권 3호 (통권 7호)
발행일
2025.08
수록논문
20 articles
유형
학술저널
주제
사회과학, 자연과학, 예술체육학, 복합학
발행기간
2024.01 ~ 2025.08
발행주기
연 4회(계간)
총 권호 수
6 volumes
총 논문 수
94 articles

초록

본 연구는 최근 상용화 단계에 접어든 사이보그 곤충 기술의 윤리적・법적 쟁점을 종합적으로 분 석하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독일 SWARM Biotactics의 바퀴벌레 사이보그 시스템과 중국 북 경이공대학교의 세계 최경량 꿀벌 뇌제어 기술을 핵심 사례로 하여 체계적 문헌조사와 비교 사례연구 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곤충의 감각 능력과 고통 인식 가능성에 대한 과학적 증거가 축적되면서 생 명체 도구화에 대한 윤리적 재검토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현행 동물보호법과 드론 규제법의 적 용 한계로 인해 새로운 규제 프레임워크 개발이 시급함을 밝혔다. 이에 단계적 규제 전략 도입, 국제 협력 체계 구축, 생체하이브리드 윤리학 발전 등을 정책적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s the ethical and legal issues of cyborg insect technology, which has recently entered the commercialization stage, and derives policy implication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comparative case study were conducted focusing on Germany's SWARM Biotactics cockroach cyborg system and China's world's lightest bee brain control technology from Beijing Institute of Technology. The analysis confirms that as scientific evidence accumulates regarding insects' sensory capabilities and pain perception, ethical reconsideration of instrumentalizing living beings is necessary. Furthermore, due to the limitations of current animal protection laws and drone regulations, developing a new regulatory framework is urgent. Accordingly, this study proposes policy alternatives including the introduction of phased regulatory strategies, establishment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systems, and development of biohybrid ethics.

참고문헌 (0)

글로벌 융복합 (94 articles / 6 volumes) 2025년도(논문 수 79) 제2권 3호(논문 수 20) ISSN 3022-6686 (Print) , 3022-6651 (Online)

학술지 논문검색 게시판 목록입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