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 전쟁의 심리적 영향에 대한 종합적 분석: 우크라이나 전쟁 사례를 중심으로
Comprehensive Analysis of Psychological Impact of Drone Warfare: Focusing on the Ukrainian War Case
저자
김대성, 박상혁
Dae-Sung Kim, Sang-Hyuk Park
Dae-Sung Kim, Sang-Hyuk Park
수록페이지
p.20-30 (11pages)
조회수
5
다운로드
0
- 창간연도
- 2024년 1월
- ISSN
- (Print)3022-6686 , (Online)3022-6651
- 수록권호
- 제2권 3호 (통권 7호)
- 발행일
- 2025.08
- 수록논문
- 20 articles
- 유형
- 학술저널
- 주제
- 사회과학, 자연과학, 예술체육학, 복합학
- 발행기간
- 2024.01 ~ 2025.08
- 발행주기
- 연 4회(계간)
- 총 권호 수
- 6 volumes
- 총 논문 수
- 94 articles
키워드
초록
1세기 전쟁 패러다임의 변화와 함께 드론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전통적인 군사심리학 이론 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새로운 형태의 심리적 현상들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24 년까지의 문헌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우크라이나 전쟁 사례를 분석하여 드론 전쟁의 심리적 영향을 종합 적으로 탐구하였다. 연구 결과, 드론 조종사들은 물리적 안전과 심리적 위험의 역설적 공존 속에서 전통 적 전투 조종사보다 높은 수준의 정신건강 장애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도덕적 상처와 원격성 의 역설로 인한 독특한 갈등 양상을 보였다. 드론 위협에 노출된 전투원들은 과경계 증상과 예측 불가능 한 위협으로 인한 만성적 불안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발견을 바탕으로 기술매개 전투 스트레스 모델이라 는 새로운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드론 전쟁 시대에 적합한 정책적 개입 방안을 제언하였다.As drone technology rapidly advances alongside paradigmatic shifts in 21st-century warfare, novel psychological phenomena have emerged that cannot be fully explained by traditional military psychology theories. This study conducted a comprehensive exploration of the psychological impact of drone warfare through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from 2010 to 2024 and analysis of the Ukrainian war case. The findings reveal that drone operators experience higher levels of mental health disorders than traditional combat pilots, characterized by the paradoxical coexistence of physical safety and psychological risk. They demonstrate unique conflict patterns arising from moral injury and the paradox of remoteness. Combat personnel exposed to drone threats experienced hypervigilance symptoms and chronic anxiety due to unpredictable threats. Based on these findings, we propose a new theoretical framework called the Technology-Mediated Combat Stress Model and suggest policy intervention measures suitable for the drone warfare era.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advancing our understanding of military psychological challenges in the new era and provides scientific evidence for developing effective coping strategies for the negative psychological impacts of technological warfare.
참고문헌 (0)
- 이전논문우크라이나 전쟁의 드론 생태계 민군 협력 구조와 전술 혁신에 관한 연구 Civil-Military Cooperation Structure and Tactical Innovation in Ukraine’s Drone Ecosystem during the War
- 다음논문인지・정보전 시대의 전략적 커뮤니케이션: 우크라이나・이스라엘 사례 분석을 통한 한국형 예방적 평화 모델 개발 Strategic Communication in the Age of Cognitive-Information Warfare: Developing a Korean Preemptive Peace Model through Ukraine-Israel Case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