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CS International Institute of Convergence Study
다양한 학제간 융복합연구를 통해 미래 사회의
변화를 주도할 수 있는 학문을
연구합니다
ENTRA
논문검색 Library

학술지 논문검색

저널명
글로벌 융복합(Journal of Global Convergence)
창간연도
2024년 1월
ISSN
(Print)3022-6686 , (Online)3022-6651
수록권호
제1권 4호 (통권 4호)
발행일
2024.10
수록논문
5 articles
유형
학술저널
주제
사회과학, 자연과학, 예술체육학, 복합학
발행기간
2024.01 ~ 2024.10
발행주기
연 4회(계간)
총 권호 수
3 volumes
총 논문 수
29 articles

키워드

드론 위협, 전자전, 안티드론 기술, 비대칭 전력, 국가안보
Drone Threat, Electronic Warfare, Anti-Drone Technology, Asymmetric Warfare, National Security

초록

본 연구는 급증하는 드론 위협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 전략을 모색하고자 한다. 특히 전자전을 중 심으로 한 대응 방안에 초점을 맞추어, 최근의 주요 드론 위협 사례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응 전략을 제시한다. 드론 기술의 빠른 발전과 접근성 향상으로 인해 국가 간 분쟁뿐만 아니라 비국가 행위자에 의한 위협 또한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이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연구 방법으 로는 문헌 연구와 사례 분석을 병행하였다.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중동 지역에서의 드론 공격, 테 러 단체의 드론 활용 등 다양한 사례를 통해 드론 위협의 특성과 영향을 파악하였다. 드론 위협은 정찰 /감시, 공격/타격, 전자전/교란, 물자 수송, 자살 폭격 등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며, 각 유형별로 고유 한 특성과 대응 방안이 요구됨을 확인하였다. 전자전 기반의 대응 전략으로는 전자공격(EA), 전자보호 (EP), 전자지원(ES)의 세 가지 영역에서의 접근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주요국의 전자전 기반 대드론 전략을 비교 분석한 결과, 미국의 고출력 마이크로웨이브(HPM) 기술, 러시아의 GPS 스푸핑 기술, 중 국의 레이저 기반 요격 시스템 등 각국의 기술 수준과 안보 환경에 따라 다양한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 음을 확인하였다. 안티드론 기술의 현황과 발전 방향을 탐지, 식별, 추적, 무력화의 네 가지 단계로 구 분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인공지능(AI) 기술과의 결합을 통한 탐지 및 식별 정확도 향상, 드론 스웜 위 협에 대응하기 위한 다중 표적 추적 및 동시 대응 기술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결론적으로, 드론 위협에 대한 전자전 대응 전략은 기술의 발전과 위협의 진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발전해야 함을 제시하 였다. 본 연구는 드론 위협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와 실효성 있는 대응 전략 수립에 기여함으로써, 국가 안보 정책 수립에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plores effective countermeasures against the rapidly increasing drone threats, focusing on electronic warfare-based strategies. The research analyzes recent major drone threat cases and proposes corresponding countermeasures. The rapid development of drone technology and its increased accessibility have led to growing threats not only in conflicts between nations but also from non-state actors, necessitating systematic responses. The methodology combines literature review and case analysis, examining various instances such as the Ukraine-Russia war, drone attacks in the Middle East, and terrorist groups' use of drones. Drone threats ar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including reconnaissance/surveillance, attack/strike, electronic warfare/jamming, logistics support, and suicide bombing, each requiring unique characteristics and countermeasures. The study proposes electronic warfare-based countermeasures in three areas: Electronic Attack (EA), Electronic Protection (EP), and Electronic Support (ES). A comparative analysis of major countries' electronic warfare-based anti-drone strategies reveals diverse approaches based on technological capabilities and security environments, such as the U.S. High-Power Microwave (HPM) technology, Russia's GPS spoofing techniques, and China's laser-based interception systems. The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trends of anti-drone technologies are analyzed in four stages: detection, identification, tracking, and neutralization. The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integrat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to improve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accuracy, and developing multi-target tracking and simultaneous response capabilities to counter drone swarm threats. In conclusion, the study suggests that electronic warfare strategies against drone threats must continuously evolve with technological advancements and threat evolution.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drone threats and the establishment of effective countermeasures, providing valuable foundational data for national security policy formulation.

참고문헌 (0)

글로벌 융복합 총 논문 수 29 총 권호 수 3 ISSN 3022-6686 (Print) , 3022-6651 (Online) 발행기간 2024 ~ 2024 발행주기 연 4회(계간)
게시물 검색

학술지 논문검색 게시판 목록입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