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미국의 정책 변화가 한국 반도체・배터리 산업에 미치는 영향 및 대응 전략
Global Supply Chain Restructuring and U.S. Policy Changes: Impacts on South Korea’s Semiconductor and Battery Industries and Strategic Responses
저자
오시연
Si-Yeon Oh
Si-Yeon Oh
수록페이지
p.13-28 (16pages)
조회수
5
다운로드
0
- 창간연도
- 2024년 1월
- ISSN
- (Print)3022-6678 , (Online)3022-6643
- 수록권호
- 제2권 3호 (통권 7호)
- 발행일
- 2025.08
- 수록논문
- 4 articles
- 유형
- 학술저널
- 주제
- 사회과학, 자연과학, 예술체육학, 복합학
- 발행기간
- 2024.01 ~ 2025.08
- 발행주기
- 연 4회(계간)
- 총 권호 수
- 7 volumes
- 총 논문 수
- 41 articles
키워드
초록
본 연구는 미중 전략 경쟁 심화, 코로나19 팬데믹,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지정학적・지경 학적 격변 속에서 진행되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미국의 정책 변화(CHIPS법, IRA)가 한국의 핵심 산 업인 반도체・배터리 분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한국의 대응 전략을 평가한다. 연구 결 과, 미국의 정책은 한국 기업에게 투자 기회와 시장 접근성 확대라는 긍정적 측면과 함께, 중국 내 생 산 제약과 공급망 재편이라는 도전 과제를 안겨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정부는 IPEF, MSP 참여 등 다각적인 경제안보 외교를 펼치고 있으나, 미중 사이 균형 유지와 공급망 재편 비용 최소화에는 여 전히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핵심 산업의 초격차 경쟁력 확보, 다층적 협력 네트워크 구축, 안 정성과 효율성의 균형 있는 조화를 통한 ‘전략적 주도성’ 발휘를 제안한다.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s of global supply chain restructuring and U.S. policy changes (CHIPS Act, IRA) on South Korea’s semiconductor and battery industries amid intensifying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COVID-19 pandemic, and Russia-Ukraine war. The findings reveal that U.S. policies present Korean companies with investment opportunities and enhanced market access, while simultaneously posing challenges related to production constraints in China and supply chain reorganization.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pursuing multifaceted economic security diplomacy, including participation in IPEF and MSP, yet continues to face difficulties in maintaining balance between the U.S. and China while minimizing supply chain restructuring costs. This study proposes that Korea should exercise “strategic initiative” by securing superior competitiveness in key industries, building multilayered cooperation networks, and achieving a balanced harmony between stability and efficiency in its approach to the changing global economic order.
참고문헌 (0)
- 이전논문스토킹 피해자 보호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민간경호 역할 고도화 및 법제도적 통합 방안 Enhancement of Private Security Roles and Legal-Institutional Integration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Stalking Victim Protection
- 다음논문초고령사회 노인 사회적 고립 완화를 위한 지역사회 통합돌봄 거버넌스 모델 비교연구: 한국, 일본, 영국, 미국을 중심으로 Comparative Analysis of Community-Based Integrated Care Governance Models for Addressing Social Isolation Among Older Adults in Super-Aged Society: Focusing on Korea, Japan, the 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