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시대의 국방혁신을 위한 시니어 솔저 체계 연구: 국제사례 분석을 통한 한국형 모델 제시
Legal Framework Reform for Implementing Defense Civilian Talent Pool (DCTP) System: A Comparative Analysis of Civil-Military Integrated Workforce Management Laws in Singapore and Germany
저자
김기원, 오대훈
Ki-Won Kim, Dae-Hoon O
Ki-Won Kim, Dae-Hoon O
수록페이지
p.182-191 (10pages)
조회수
5
다운로드
0
- 창간연도
- 2024년 1월
- ISSN
- (Print)3022-6686 , (Online)3022-6651
- 수록권호
- 제2권 3호 (통권 7호)
- 발행일
- 2025.08
- 수록논문
- 20 articles
- 유형
- 학술저널
- 주제
- 사회과학, 자연과학, 예술체육학, 복합학
- 발행기간
- 2024.01 ~ 2025.08
- 발행주기
- 연 4회(계간)
- 총 권호 수
- 6 volumes
- 총 논문 수
- 94 articles
키워드
초록
21세기 한국사회는 세계 최저 수준의 출산율과 급속한 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 변화에 직면하 고 있으며, 이는 전통적인 징병제 기반 국방체계의 근본적 재검토를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우크라 이나, 이스라엘, 북유럽 국가들의 고령 인력 활용 사례를 분석하여 한국형 시니어 솔저 체계의 발전방 향을 제시하였다. 현행 40세 상한연령 제한으로 인해 40-60세 연령대 736만명의 군복무 경험자가 미활용되고 있는 현실을 지적하며, 전문성과 경험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국방패러다임의 필요성을 강 조하였다. 연구결과, 연령 제한 확대, 전문성 기반 차별화, 민간부문 연계 강화를 통해 고령화 시대의 도전을 국방혁신의 기회로 전환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Korean society in the 21st century faces fundamental demographic challenges with the world’s lowest fertility rate and rapid aging, necessitating a comprehensive reconsideration of traditional conscription-based defense systems. This study analyzes cases of elderly workforce utilization in Ukraine, Israel, and Nordic countries to propose developmental directions for a Korean-style Senior Soldier system. The research highlights the reality that 7.36 million military veterans aged 40-60 remain underutilized due to current age restrictions at 40, emphasizing the need for a new defense paradigm based on expertise and experience.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expanding age limits, implementing expertise-based differentiation, and strengthening civilian sector linkages can transform the challenges of an aging society into opportunities for defense innovation. The study contributes to academic discourse by systematizing the concept of Senior Soldier and providing a theoretical framework for integrated economic-security linkage effects in aging societies.
참고문헌 (0)
- 이전논문공중발사 협업전투기 시스템의 전략적 효과성과 SORA 프레임워크 기반 위험평가 연구 Strategic Effectiveness and Risk Profile Assessment of Air-Launched Collaborative Combat Aircraft Systems: A Military Application of the SORA Framework
- 다음논문저비용 상용 드론을 활용한 다중군집 전장 감시 체계 설계: 호주 Ghost Bat 모델 기반 한반도 특화 3계층 아키텍처 Design of Multi-Swarm Battlefield Surveillance System Using Low-Cost Commercial Drones: A Three-Tier Architecture for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Australia’s Ghost Bat Model